Programming310 [Node.js/express] 익스프레스 2021.11.30 - [Programming/Node.js] - [Node.js] 첫 서버와 Hello world! [Node.js] 첫 서버와 Hello world! 모든 프로그래밍 언어를 배우다보면 항상 처음에 등장하는 동시에 그 언어의 성격을 맛 볼 수 있는 문구가 존재합니다. 'Hello world!'라고요. 우리는 이 포스트를 통해 노드로 처음 서버를 열어보 bamtory29.tistory.com http 모듈을 이용해서 서버를 열었었습니다. 하지만 이 방식에는 다양한 불편함이 따라옵니다. 그래서 이런 불편함을 해소하고자 npm에는 수 많은 서버 프레임워크들이 나타나게 되었습니다. express, koa 등이 노드 웹 서버 프레임워크들입니다. 저는 이 중에서 npm 다운로드 수가 압도적으로 높.. 2021. 12. 4. [Node.js] 이벤트를 만들고 사용하기 웹에서 빠질 수 없는 이벤트. 그동안 몇 개의 포스트를 거쳐오며 이벤트를 여러번 만났었는데요. 노드에서는 내부적으로 이벤트를 호출하는 경우도 있지만 프로그래머가 직접 이벤트를 생성할 수 도 있습니다. 1. 이벤트 생성과 관리 메소드 이벤트 생성은 EventEmitter객체의 메소드를 통해서 할 수 있습니다. Event Emitter는 events 모듈 내에 포함되어있습니다. 아래 코드는 EvenEmitter객체를 만들고 객체의 메소드들을 실행해보는 코드입니다. const EventEmitter = require('events'); const myEvent = new EventEmitter();//EventEmitter객체 생성 //이벤트 만드는 방법1 myEvent.on('event1', () => { .. 2021. 12. 4. [Node.js] 파일 시스템 모듈 그동안 배운 바닐라 자바스크립트, 리액트는 브라우저 상에서 작동하는 것이 위주였기 때문에 파일 시스템에 접근할 일이 없었습니다. 그래서 노드의 파일 시스템 모듈은 노드만의 특징이라고 할 수 있는 기능입니다. 1. 파일 시스템 모듈 소개와 버퍼 노드의 파일 시스템은 파일 시스템에 접근할 수 있는 모듈입니다. 접근이라 함은 다시말해 파일을 생성, 삭제, 수정, 읽기/쓰기가 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기본적인 fs 모듈의 사용법입니다. 많은 메소드가 있지만 파일을 읽는 readFile()을 예로 들어보겠습니다. 모듈이기 때문에 require로 불러옵니다. readFile의 사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첫 번째 인자로는 경로, 두 번째 인자로는 콜백 함수를 사용합니다. 이 콜백은 첫 번째 인자로 읽기를 실패할 .. 2021. 12. 4. [npm] npm 명령어 몇 가지 지난 포스트에서 package.josn을 다루면서 본격적으로 npm이 등장했는데요. 이에 대해 자주 쓰일 몇 가지 npm 명령어들을 소개하고 넘어가겠습니다. 몇 가지는 외워두면 편리한 것도 존재합니다.(물론 강제보단 필요에 의해서 외워지게 됩니다...ㅎㅎ;) 더 많은 명령어는 공식문서에 나와있으므로 공식문서를 활용해 주세요. npm init package.json파일을 생성합니다. 이때 npm init -y로 사용하면 모든 설정이 default값을 따라갑니다. npm install [패키지명] 패키지를 설치합니다. 기본적으로 로컬에 설치가 되며, npm install -g [패키지명]을 하면 전역에 설치가 됩니다. 또한 npm i [패키지명]으로도 사용이 가능합니다. npm uninstall [패키지명].. 2021. 12. 3. [Node.js] package.json 알아보기 npm, Node Package Manager, 노드 패키지 매니저입니다. npm의 역할은 여러 패키지들을 쉽게 설치 및 업데이트, 삭제하도록 도와줍니다. 패키지들은 일종의 노드 모듈입니다. 그래서 우리가 편리하게 이용하다 보면 수 많은 패키지들을 설치하게 됩니다. 1. package.json을 이용하는 이유 서론에서 언급한 패키지들을 이용하다보면 엄청 많은 패키지들을 이용하는데, 문제는 이 패키지들이 각각의 버전을 가지고 있다는 것입니다. 예를들면 우리가 현재 v14노드를 써서 프로그램을 개발했다고 합시다. 당연히 과거 버전에서는 v14의 기능들을 쓸 수 없겠고, 먼 미래에 누군가가 이 프로그램을 설치했을 때 미래의 노드 버전에서는 삭제되어서 사용하지 못하거나 권장되지 않는 문법으로 인해 충돌이 발생할.. 2021. 12. 2. [Node.js] 쿠키 만들기 제과 포스팅이 아닙니다?! 2021.11.03 - [Programming/CS] - 쿠키와 세션 쿠키와 세션 인터넷을 하다보면 가끔씩 우리는 인터넷 기록 삭제를 할 때가 있습니다. 이때 종종 접하는 단어가 '쿠키 삭제'로 쿠키를 지우는 것이라고 합니다. 또 연결을 하다보면 세션이라는 단어도 많이 bamtory29.tistory.com 1. 쿠키와 세션 간략하게 위의 포스트에서 쿠키와 세션을 정리해두었습니다. 다만 여기서도 짧게는 설명하고 넘어가겠습니다. 쿠키는 웹 페이지 방문 시 생기는 정보들을 담아서 브라우저 자체에 저장되는 임시 저장 파일입니다. 즉, 클라이언트측에 저장되는 사용자 정보입니다. 세션은 클라이언트의 연결을 확인하고 연결된 시간동안 클라이언트의 정보와 설정 등을 유지하는 것 입니다. 세션.. 2021. 12. 1. 이전 1 ··· 8 9 10 11 12 13 14 ··· 52 다음 300x2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