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gramming310 [Typescript] 타입스크립트 함수 타입스크립트의 함수는 자바스크립트의 함수에서 타입 기능을 더하기만 하면 됩니다. 물론 추가적인 주의사항도 있습니다. 타입스크립트에서 가장 중요한 점은 함수에서 만큼은 타입을 잘 적어두는 것이 중요합니다. 1. 함수 선언 타입스크립트의 함수는 다음과 같이 선언합니다. 자바스크립트와는 다르게 반환값에 타입을 지정한다는 것도 큰 특징입니다. function 함수명(인자: 타입, ...): 반환값 타입 {} function add(x: number, y: number): number { return x+y; } 반환값 타입에는 void라는 값이 올 수도 있는데, 값을 반환하지 않는 함수는 타입이 void가 됩니다. function sayHi(): void { console.log('Hi!'); } 애로우 함수도.. 2021. 12. 30. [Typescript] 타입 단언 1. 타입 단언 Type Assertion 타입스크립트에는 타입 단언이라는 독특한 구문이 있습니다. '단언'이라는 단어 그 자체에서 느낄 수 있듯이 타입을 확실히 한다라는 것을 의미합니다. 즉, 프로그래머가 타입 단언을 통해서 컴파일러에게 타입을 확실하게 알려주기 위해 타입 단언을 이용한다라고 볼 수 있습니다. 타입 단언은 두 가지 종류가 있습니다. (객체) (객체 as 타입) 이 두가지 방식 중 아래의 (객체 as 타입) 방식이 일반적으로 선호 됩니다. 를 이용한 단언은 JSX 등과 혼동될 여지가 있기 때문입니다. 아래 코드는 두가지 타입 단언 방식을 이용해서 작성된 코드와 결과입니다. let a: string = '헬로'; let say1 = (a); let say2 = (a as string); c.. 2021. 12. 30. [Typescript] 클래스 이번에 소개할 구문은 클래스입니다. 자바와 비슷한 클래스 키워드들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1. 클래스 선언 인터페이스처럼 클래스도 class 키워드로 선언합니다. class { [접근 지정자] 속성명: 타입; } class Student { public name: string; public id: number; } const std1: Student = new Student(); std1.name = 'ake'; std1.id = 1; 클래스는 new 키워드로 인스턴스를 만들어서 사용하고, .연산자를 통해 속성이나 메소드에 접근할 수 있습니다. 클래스의 속성에는 접근 지정자를 붙일 수 있는데, 다른 언어들처럼 public, protected, private를 지원하며, 생략할 경우에는 public 속성을 .. 2021. 12. 29. [Typescript] 인터페이스 1. 인터페이스 인터페이스는 객체의 타입을 지정하게 하는 키워드입니다. 만약 인터페이스가 없다면, 객체 자체는 object지만, 그 내부에 속성 값과 타입이 제각각인 것들을 담게 됩니다. 이를 막고자 인터페이스가 고안되었습니다. 인터페이스는 보통 파일명 앞에 대문자 I를 붙이고 사용합니다. 안의 내용은 객체 선언하듯이 이용하면 됩니다. 그러면 인터페이스는 객체에서 마치 타입처럼 동작합니다. interface 인터페이스명 { 속성명: 타입; } interface IStudent { name: string; id: number; } let std: IStudent = { name: '마틴', id: 1, } 다음과 같은 선언들은 타입과 일치하지 않아서 오류입니다. let std: IStudent = { na.. 2021. 12. 29. [Typescript] 타입스크립트 변수 타입스크립트는 자바스크립트 기반 언어이기 때문에 문법에 있어서 기본적인 사용법들은 자바스크립트를 따라갑니다. 2021.01.28 - [Programming/Javascript] - [Javascript] 변수 선언과 명명 규칙 2021.01.29 - [Programming/Javascript] - [Javascript] 자바스크립트의 자료형 2021.02.04 - [Programming/Javascript] - [Javascript] 상수 선언하기, const 0. 세미콜론 들어가기 전에 여러 자료들을 보면서 어떤 곳은 세미콜론을 붙이고, 어떤 곳은 세미콜론을 붙이지 않아서 혼란이 있었습니다. 과연 무엇이 정식 문법일까 했지만, 결론은 붙인다가 정식입니다. 당장 공식 문서에서도 붙이는 것을 정사로 두고 .. 2021. 12. 28. tsconfig.json 지난 포스트에서 기본적인 타입스크립트 프로젝트를 만들면서 tsconfig.json 파일을 만들었습니다. 다양한 옵션들이 존재하지만 우리가 필요로 하기에 남겨두었던 옵션 키들에 대해서 알아보고 넘어가겠습니다. "module": "CommonJS", 동작 대상의 플랫폼을 구분해서 그에 맞는 모듈 방식으로 컴파일하기 위해 지정하는 옵션입니다. Node.js 플랫폼(또는 웹 브라우저 환경을 제외한 환경)에서 구동하기 위해서 CommonJS 방식을 설정해주었습니다. 만약 웹 브라우저 상에서 동작하길 원한다면 AMD(Asynchronous Module Definition) 방식으로 지정해줍니다. "esModuleInterop": true, 패키지 중에는 웹 브라우저의 동작을 위해 AMD 방식으로 구현된 것들이 있습.. 2021. 12. 28. 이전 1 ··· 5 6 7 8 9 10 11 ··· 52 다음 300x2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