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gramming310 [Git] git stash 1. git stash 어떤 파일을 수정하다가 현재 파일의 수정사항은 제외하고 다른 파일을 커밋하고 싶은 경우가 있습니다. 물론 명령어를 통해 다른 파일들만 커밋할 수는 있지만 그렇게 되면 계속 커밋 메세지가 날아와서 번거롭죠. 또는 뇌빼기 코딩하다 무지성으로 git commit -am 해버리면 곤란 할 수도 있고요. 오늘은 그럴때 사용하는 명령어인 stash를 알아보겠습니다. 우선 실습 파일에서 s1과 s2라는 파일을 만들어줍니다. stash 명령은 tracked 파일에 한정해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우선 아무렇게나 적고 한 번 커밋해주세요. 이렇게하면 stash 명령 실습 준비가 완료됩니다. 준비된 상태에서 s2혹은 s1 중 아무거나 열고 수정해주세요. 저는 s2를 수정하겠습니다. 그런다음에 git.. 2021. 12. 1. [Node.js] REST 주소창을 보면 다음과 같이 어지러운 문자열이 나열되어있습니다. 이것은 페이지에서 현재 주소를 나타냄과 동시에 요청 내용을 표시합니다. 우리는 지금 부터 이 내용을 통해 어느정도 지금 페이지에서 무엇을 요청해서 보여주고 있구나를 알 수 있습니다. 1. REST REST는 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의 줄임말로, 직역하면 대표 상태 전송입니다. 풀어서 말하면 전송하는 서버의 자원들에 대한 주소를 지정하는 방식입니다. 왜 대표적으로 지정해야하냐면, 우리가 이전의 예시처럼 html 페이지만 전송하면 편하겠지만, 실제로는 이미지, 동영상 등도 전송합니다. 그러나 이런것들은 위의 주소창에 모든 것을 표시하면 엄청 길어질수도 있겠죠? 혹은 개인정보를 다루는 페이지라면 개인정보가 표시되어 .. 2021. 12. 1. [Node.js] 첫 서버와 Hello world! 모든 프로그래밍 언어를 배우다보면 항상 처음에 등장하는 동시에 그 언어의 성격을 맛 볼 수 있는 문구가 존재합니다. 'Hello world!'라고요. 우리는 이 포스트를 통해 노드로 처음 서버를 열어보고 헬로 월드도 출력해볼 것 입니다. 1. HTTP 모듈로 서버 열어주기 우리는 서버를 열기 위해 HTTP모듈을 이용할 것 입니다. 지난 포스트에서 다룬 모듈사용법에 따라서 require를 해줍니다. const http = require('http'); 다음으로 HTTP요청에 응답하는 createServer메소드를 호출해줍니다. 이때 createServer 메소드의 인수로 요청에 대한 콜백을 넣어서 요청이 들어올 때 마다 콜백을 실행하게 됩니다. 대부분은 콜백 함수의 인자로 req와 res를 사용하게 됩니다.. 2021. 11. 30. [Node.js] 노드의 모듈 2021.10.05 - [Programming/Javascript] - [Javascript] 모듈 Module 자바스크립트에도 모듈이 존재하긴 합니다. 하지만 ES6이전에는 모듈이 존재하지 않았고 오직 노드에서만 모듈화를 시킬 수 있었습니다. 그래서 노드를 이용한 모듈화는 자바스크립트의 모듈 문법과 조금 다른 문법을 가지고 있습니다. Node.js의 사용에 대해서는 ES6를 이해하는 것이 좋기 때문에 모듈을 알고있으리라 믿지만, 자세한 설명은 위의 링크를 참조하시면 됩니다. 1. Node.js 모듈 그럼 우리는 바로 Node.js에서 모듈을 어떻게 사용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저는 getSum이라는 합을 구하는 함수를 모듈로 이용하려고 다음과 같이 코드를 작성했습니다. ES6방식에서는 모듈로 내보내고자 .. 2021. 11. 30. [Node.js] REPL 1. REPL 처음부터 영단어가 나와서 놀라실수도 있겠지만, 별 거아닙니다. 그냥 콘솔 상에서 노드를 실행할 수 있게 해주는 것입니다. REPL는 Read Eval Print Loop의 줄임말로, 읽고 해석하고 보여주고 반복한다는 의미입니다. 사용법은 윈도우라면 cmd 맥이나 리눅스는 터미널을 열고 node를 입력합니다. (노드를 설치해야 작동) 그러면 위의 사진과 같이 현재 경로가 사라지고 꺾쇠만 남느데 이러면 사용이 준비가 완료된 것입니다. 이 상태에서 자바스크립트 코드를 입력하면 실행이 되고, 이것이 REPL입니다. 추가적으로 REPL 상태가 아닌 일반 콘솔, 터미널 상태에서 node [js파일 경로]를 입력하면 해당 js파일을 콘솔상에서 실행시켜 볼 수도 있습니다. 2021. 11. 28. [Node.js] Node.js의 소개와 특징 1. Node.js Node.js(이하 노드)는 Chrome V8 자바스크립트 엔진으로 빌드된 자바스크립트 런타임입니다. 종종 어떤 사람들은 프레임워크라고 보기도 하지만 공식문서에서는 런타임이라고 이야기 합니다. 런타임이란 특정 언어로 짜여진 프로그램들을 실행할 수 있는 환경을 의미합니다. 자바스크립트 런타임 이라는 것은 자바스크립트로 짜여진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는 환경이라는 의미가 됩니다. 노드는 런타임이기때문에 자바스크립트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도 있고, 단순히 서버를 실행시켜버릴 수도 있습니다. 또는 우리가 익히 알고있는 웹 프라임 워크도 노드를 기반으로 돌아가기도 합니다. 서버도 간단히 이야기 하고 넘어가자면 서버는 네트워크 통신으로 클라이언트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서버는 컴퓨터.. 2021. 11. 28. 이전 1 ··· 9 10 11 12 13 14 15 ··· 52 다음 300x2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