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gramming310 [Javascript] 함수에서 여러 값 반환하기 함수에서 반환값이 하나만 나온다고 했었는데 사용하다보면 여러 값을 반환하고 싶은 경우가 생깁니다. 1. 여러 값 반환하기 return명령은 함수에서 값을 반환하지만 복수의 값을 반환할 수는 없습니다. 그렇다면 복수의 값들을 반환하기 위해서는 어떻게 할까요. 바로 배열과 객체를 이용하는 것 입니다. 말로 간단하게 설명하자면 여러값들을 배열 혹은 객체로 묶어서 하나의 값으로 만든다음에 반환시키는 방법입니다. 2. 분할 대입 우선 여러값을 반환 하기 위해서는 분할 대입에 대해 알고 넘어가야합니다. 분할 대입은 배열, 객체를 분해하여 내부의 요소(프로퍼티)들을 개별적인 변수로 분해하는 구문입니다. 2-1. 배열의 분할 대입 배열에서 일반적으로 값을 추출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이용했었습니다. let arr = [.. 2021. 2. 26. [Javascript] 인수 함수에서 사용되는 인수에 대해 조금 더 다룰려고 합니다. function 함수명(인수){ } 0. 실인수와 가인수 인수는 존재 위치에 따라 두가지 이름으로 불립니다. 실인수는 호출하는 함수의 인수, 가인수는 함수 정의에 사용된 인수를 의미합니다. function 함수명(가인수){ } 함수명(실인수); 1. 디폴트값 선언하기 다음과 같은 형식으로 인수에 디폴트값을 선언할 수 있습니다. function 함수명(인수=디폴트값){ } 디폴트값을 설정하여 함수 내부에서 추가적으로 인수에 대입하는 과정이 사라져 간결한 함수를 만드는데 도움을 줍니다. 디폴트값에는 값 뿐만이 아니라 다른 함수, 인수, 식 등을 넣어서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디폴트값을 가진 인수과 그렇지 않은 인수를 혼합해서 사용할 경우에는 디폴.. 2021. 2. 26. [Javascript] 스코프, 호이스팅 스코프는 변수가 스크립트 내부의 어떤 위치에서 참조될 수 있는가에 대한 것입니다. 자바스크립트는 세가지 경우의 스코프를 가지고 있습니다. 1. 스크립트 내부 어디에서든 참조가 가능한 글로벌 스코프 2. 정의되어있는 함수 내부에서만 참조가 가능한 로컬 스코프 3. 블록 내부({})에서만 참조가 가능한 블록 스코프 스코프 개념은 변수 선언과 밀접한 연관이 있기때문에 변수 선언이 헷갈린다거나 하면 아래 포스트를 참조합시다. 2021/01/28 - [Programming/Javascript] - [Javascript] 변수 선언과 명명 규칙 1. 글로벌 스코프 글로벌 스코프는 어떤 함수 내부에도 들어가있지 않도록 되어있게 선언된 스코프이다. 더 간단히 하면 함수 외부에 선언된 변수라고도 할 수 있습니다. 2. .. 2021. 2. 25. [Javascript] 사용자 정의 함수 4 - 애로우 함수 사용자 정의 함수의 정의법 그 마지막 애로우 함수입니다. 애로우함수는 ES2015부터 추가된 새로운 기능입니다. 애로우 함수는 완전히 새로운 방법은 아니고 함수 리터럴을 간단하게 표현하게 할 수 있도록 만들어준 방식입니다. 애로우 함수의 기본적인 구문은 다음과 같습니다. (인수)=> { 함수 본체 } 익명 함수에서 비롯되었기 때문에 마찬가지로 함수명이 따로 없고 function명령 대신 =>(애로우)를 통해 인수와 함수의 본체를 이어줍니다. let addNumber = function(num1, num2) { return num1 + num2; } console.log("합계: " + addNumber(1, 2)); 이렇게 표현되던 익명 함수 리터럴을 let addNumber = (num1, num2) .. 2021. 2. 24. [Javascript] 사용자 정의 함수 3 - 함수 리터럴 (익명 함수) 리터럴은 변수에 저장되는 데이터의 값 또는 그 값의 표현 방법입니다. 2021/01/29 - [Programming/Javascript] - [Javascript] 자바스크립트의 자료형 자료형 포스트에서 참조형에 함수가 있었는데 그 내용을 지금 다루게되었습니다. 자바스크립트에서는 함수도 데이터형의 하나로 간주하여, 함수를 리터럴 자체로 표현하고, 변수에 함수를 대입하고, 다른 함수의 인수로 전달하고, 반환값으로 함수를 건네주는 행위가 가능합니다. 리터럴 선언은 다음과 같이 선언합니다. let addNumber = function(num1, num2) { return num1 + num2; } console.log("합계: " + addNumber(1, 2)); 선언부에 보면 그동안 나왔던 '함수명(인수).. 2021. 2. 24. [Javascript] 사용자 정의 함수 2 - Function생성자 두번째 방법인 Function 생성자를 이용한 방법입니다. Function 생성자는 자바스크립트에 내장된 객체입니다. 내장 객체는 사용자가 정의하는 것이 아닌 자바스크립트에 포함되어 어디서나 사용가능한 객체이며, 이는 객체에서 다시 다루겠습니다. 주의점은 function명령과 다르게 앞이 대문자 'F'로 시작한다는 것을 주의해야합니다. 기본적인 사용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let 변수명 = new Function(인수, 함수의 본체); 소괄호에 인수와 함수의 본체가 같이와서 조금 난해해 보이지만, 인수가 여러개라면 여러개를 콤마로 늘어놓고, 마지막에 함수의 본체를 기입하는 방식입니다. let addNumber = new Function('num1', 'num2', 'return num1+num2'); c.. 2021. 2. 24. 이전 1 ··· 37 38 39 40 41 42 43 ··· 52 다음 300x2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