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gramming310 [Git] 깃 명령어 정리 여태까지 배운 기초적인 깃 명령어를 한번 쭈욱 정리하고 넘어가려고 합니다. 깃 상태 확인 git status 스테이징 git add 파일명 스테이징 취소 git reset HEAD 파일명 git rm --cached 파일명 두 명령의 차이에 대해서는 다음 포스트 참조! https://bamtory29.tistory.com/entry/Git-%EC%8A%A4%ED%85%8C%EC%9D%B4%EC%A7%95?category=988312 커밋 git commit git commit -m "커밋 메세지" 커밋 기록 확인 git log 스테이징과 커밋 동시에 하기 git commit -am "커밋메세지" 단, 한 번이라도 커밋된 적이 있는 파일에 한해 사용가능! 파일의 변경내용 확인 git diff 커밋 취소 g.. 2021. 8. 31. 디자인 패턴 1. 디자인 패턴이란 디자인 패턴(Design Pattern)이란, 코드가 좋은 효율을 내도록 하는 설계 방법론입니다. 디자인 패턴은 좋은 코드를 작성하기 위한 방법론 입니다. 여기서 말하는 좋은 코드란, 코드의 재사용성을 극대화하여 좋은 유지보수성을 갖게하는 코드를 의미합니다. 이렇게 좋은 코드를 작성하기 위하여 코드들을 작성하다보니 몇 가지 설계 패턴이 나오게 되었고 이것들을 묶어서 디자인 패턴이라고 하기로 했습니다. 디자인 패턴의 바이블이라고 불리우는 GoF의 디자인 패턴 책에서는 디자인 패턴을 세가지 유형으로 분류해서 디자인 패턴을 소개하고 있습니다. 생성 패턴(Creational Pattern) 구조 패턴(Structural Pattern) 행동 패턴(Behavioral Pattern) 생성 패.. 2021. 8. 30. [Git/GitHub] 파일 올리기와 내려받기 지난 포스트에서 깃허브에 원격 저장소를 만들고, 지역 저장소와 연결 하는 작업을 했습니다. 그렇다면 이제 원격 저장소에 파일을 올리고 내려받는 방법을 알아야겠죠? 1. 파일 올리기 우선 파일을 올리는 방법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지역 저장소의 파일들을 원격 저장소에 올리는 작업을 "푸시(push)"라고 부릅니다. 그래서 명령어에도 push가 들어가게 됩니다. git push 일단 우리는 저장소를 처음 만들었기 때문에 git push이전에 추가작업을 한가지 해주어야합니다. git push -u origin master 이 명령은 지역 저장소의 브랜치를 원격 저장소의 master 브랜치에 연결하겠다라는 의미를 가진 명령이기에 저장소를 처음 설정했다면 처음에 한 번은 입력해 주어야합니다. 이때 origin은.. 2021. 8. 27. 자료구조 다시 시작하기 비대면으로 자료구조 과목을 날려버렸기에 다시 정리하려고 합니다. 배울때 C언어를 통해 배웠었는데 자료구조에 대해 숙지가 덜 된 상태에서 기술하려고 하니까 여러 어려움이 정보 전달이나 글 하나 쓰는데 필요 이상의 시간이 소모되는 일들이 생기더라고요. 그래서 처음 배웠던 조금은 익숙한 C언어로 자료구조를 먼저 연구하고 그 뒤에 제가 익숙한 자바나 다른 언어를 이용해서 자료구조 포스트를 하려고합니다. 그래도 이전에 썼던 글들은 삭제하지 않고 그냥 냅두도록 하겠습니다. 2021. 8. 27. [GitHub] 깃허브에 원격 저장소 만들기 이번에는 깃허브를 본격적으로 이용해볼 차례입니다. 실습 전에 깃허브에 가입절차를 통과해주시기 바랍니다. https://github.com/ GitHub: Where the world builds software GitHub is where over 65 million developers shape the future of software, together. Contribute to the open source community, manage your Git repositories, review code like a pro, track bugs and feat... github.com 1. 원격 저장소 만들기 깃허브에 로그인 하면 상단에 (+)표시가 있습니다. (+)표시를 누르고 New repository.. 2021. 8. 27. [Git/GitHub] 원격 저장소 이번 포스트 부터는 대표적인 원격 저장소 깃 허브(GitHub)를 다루려고 합니다. 깃 허브에 대해 알아보기 전에 원격 저장소가 무엇인지 부터 소개하겠습니다. 0. 지역 저장소 앞에서 몇 개의 포스트들을 거치며 깃을 익히는 동안 저희는 사용자의 컴퓨터 내부 저장공간에 작업 파일을 만들고 작업했습니다. 이것을 지역 저장소(local repository)라고 불렀습니다. 우리가 작업을 하다가 지역 저장소가 담긴 저장장치가 고장이 난다거나, 삭제해버릴 경우 지역 저장소의 내용은 사라져 버리게 됩니다. 이렇게 지역 저장소 한군데에만 저장해 두는 것은 굉장히 위험하죠. 그래서 지역 저장소에만 저장하는 행동은 그다지 안전하다고 볼 수는 없습니다. 그래서 따로 저장할 공간을 필요로 하게 되는데 이때 이용하게 되는것이.. 2021. 8. 26. 이전 1 ··· 26 27 28 29 30 31 32 ··· 52 다음 300x2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