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Programming310

마크다운 깃허브를 하다보니 리포지토리를 만들고 그 리포지토리에 대한 설명 등을 위해 README.md를 작성하는 일이 많아졌습니다. 처음에는 새로운 걸 또 배워? 하며 막막했지만 이제는 어느정도 편하게 작성할 수 있는 마크다운 문서를 소개해드리려고 합니다. 1. 마크다운 마크다운은 마크업 언어(태그 등을 이용해 문서의 구조를 표기하는 언어)입니다. 일반 텍스트로만 이루어져 있고 이들을 통해 문서의 다양한 서식을 만들 수 있게 해줍니다. 다른 마크업 언어에 비해서 배우기도 사용하기도 쉽기때문에 많이 사용되고 있는 마크업 언어이기도 합니다. 2. 문법 2-1. 제목 제목은 #으로 표시할 수 있습니다. 총 6단계 크기까지 지원하며 html의 h태그를 생각하면 쉽습니다. # 큰 제목 (like h1 tag) ## 덜 큰.. 2021. 10. 28.
[Git] 원격 저장소의 복제 git clone 깃과 원격 저장소는 단순히 클라우드로 사용할 수도 있지만, 그 진가는 협업에서 나타납니다. 여태까지는 혼자서 깃을 만들고 커밋하고 업로드했다면, 이번에는 많은 사람들과 원격 저장소를 이용할 수 있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1. git clone git clone [원격 저장소 주소] 복사할_디렉토리_명 사용법은 위와 같습니다. 이때 복사하고자 하는 위치에서 명령어를 입력해야합니다. 원격 저장소 주소는 복사하고자 하는 원격 저장소에 들어가서 초록색 Code 버튼에 들어가면 복사할 수 있습니다. 위에서 예시로 사용하는 원격저장소는 우리가 실습했던 a1 디렉토리입니다. 이 디렉토리를 clone 해보겠습니다. 이렇게 복사되었습니다. 그렇다면 이때 복사한 a1_clone에서 커밋을 하면 원래대로인 a1 디렉토리에.. 2021. 10. 27.
[Javascript] Fetch API Ajax 통신을 이용할 때 지난 포스트에서 다룬 XMLHttpRequest, jQuery, Fetch 등을 사용합니다. 이 중 XHR 방식은 사용법이나 가독성면을 위협하고, 제이쿼리는 사용하지 않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Fetch를 사실상의 표준으로 채택하고 있습니다. 1. Fetch API 지난번에 비동기 통신을 다루는 객체인 XMLHttpRequest 객체를 알아보았습니다. 하지만 사용법이 조금 복잡하고 가독성도 썩 좋다고는 하지는 못한다고 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이런 문제점을 해결하기위해 ES6부터 통신을 위한 Fetch API를 채택했습니다. Fetch는 브라우저에 내장되어있기 때문에 따로 라이브러리의 설치같은 과정 없이도 이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Fetch는 네트워크의 Request와.. 2021. 10. 18.
[Javascript] XMLHttpRequest 이 객체를 사용하는 이유나 Ajax 등에 대해선 아래 포스트를 참조해주세요. 2021.10.15 - [Programming/CS] - Ajax Ajax 해외 축구를 많이 보던 저에게 단어 자체는 Ajax라는 단어는 익숙한 단어였습니다. 아약스라는 축구팀이 있기도 하고 그리스 신화에도 아약스라는 인물이 등장하기 때문에 처음 이 단어를 들을 bamtory29.tistory.com 1.XMLHttpRequest 비동기 통신을 관리하는 XMLHttpRequest 객체를 이용하면 자바스크립트로 서버와의 통신을 어느정도 제어할 수 있습니다. 이름에 XML과 HTTP가 들어가긴 하지만 이 두가지만 통신하는 것이 아니고 객체의 프로퍼티들을 통해서 JSON 문자열이나 일반 Text, HTML 문자열까지도 통신할 수 있습.. 2021. 10. 17.
라이브러리와 프레임워크 언어 하나를 해보고 프레임워크로 넘어가는 시점에서 언어와 관련하여 다양한 용어들이 나옵니다. 특히 라이브러리, 프레임워크 뭔가 다른 역할을 하는 것 같은데 처음 접하는 입장에서는 헷갈리기도 하는 것 같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이 용어들을 간단하게 정리 비교 해보겠습니다. 1. 라이브러리 라이브러리(library)는 특정 함수나 기능들을 모듈화 하여 모아둔 것입니다. 라이브러리는 그 자체로는 실행시킬 수 없고 라이브러리를 포함하는 프로그램이나 API의 호출 등을 통해서 실행이 가능합니다. 이미 기능들이 구현되어있고 그것들을 가져와서 사용하는 것이기 때문에 코드의 재사용성, 빠른 작성 등의 이점을 취할 수 있습니다. 라이브러리에는 정적 라이브러리와 동적 라이브러리가 있습니다. 정적 라이브러리는 컴파일러가 소스.. 2021. 10. 16.
테스트 주도 개발 TDD 1. 테스트 주도 개발 Test Driven Development TDD 테스트 주도 개발 방식은 개발을 여러개의 세부 단위로 나누어서 테스트하고 수정하고 완성하는 과정을 반복하는 익스트림 프로그래밍 방식의 하나입니다. 개발자는 테스트를 위한 코드를 작성하고, 그 테스트를 통과하기 위한 코드를 작성하는 하는 개발 방식입니다. 이 짧은 사이클을 프로젝트의 완성까지 반복해서 실시합니다. 즉, 기존 개발이 설계 > 실제 코드 작성 > 테스트의 순서로 진행되었다면, TDD는 설계 > 테스트 > 실제 코드 작성의 순서대로 이루어지는 것 입니다. TDD의 가장 큰 특징이자 개발 방식은 프로젝트를 일정 단위로 나누고 그에 대한 테스트 코드를 작성하는 단위 테스트라는 작업을 합니다. 그리고 작성된 테스트를 통과하도록 .. 2021. 10. 15.
300x250